전체 글 (16) 썸네일형 리스트형 부탄 전통 가옥 ‘종’의 건축 철학 종(Dzong)의 정의와 건축적 기원부탄의 전통 가옥 중 가장 독특하고 상징적인 구조물은 단연 ‘종(Dzong)’이라 할 수 있다. 종은 단순한 주거 공간이 아닌 행정, 군사, 종교 기능이 융합된 복합 건축물로, 17세기 중엽 건축가 및 종교지도자였던 샵드룽 응왕 남걀(Shabdrung Ngawang Namgyal)이 처음 체계화했다. 이 구조물은 티베트 불교의 전통과 부탄 고유의 자연환경에 맞춰 설계되었으며, 산악지형 위에 요새처럼 세워져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공동체를 보호하는 동시에 수행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특히 종은 외형에서부터 독특함을 자아낸다. 흰 벽, 나무 창틀, 금색 지붕으로 이루어진 이 구조물은 자연과 조화로운 아름다움을 지니며, 주변 산세를 거스르지 않고 오히려 끌어안는 형태로 배치.. 몽골 유르트의 구조적 아름다움과 생존 전략 유목민의 삶을 담은 공간, 유르트의 기원과 구조적 개요몽골 유르트(ger)는 중앙아시아 유목민의 삶을 대표하는 이동식 주거 형태로, 그 기원은 기원전 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유르트는 단순히 휴식의 공간이 아니라, 가축을 따라 이동하며 살아가는 유목 문화의 핵심 요소로 작용해 왔다. 역사학자 Igor de Rachewiltz는 유르트가 기원전 흉노족의 이동식 주거양식에서 발전하였다고 보고했으며, 이는 《Journal of Asian History》를 통해 학문적으로도 입증되었다. 유르트는 원형의 바닥 구조와 경량화된 골조, 그리고 천연 재료를 이용한 덮개로 이루어지며, 빠른 설치와 해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목 생활에 최적화되어 있다. 기본 구조는 크게 바닥(토대), 벽 프레임(하나), 천장 뼈대(우.. 일본의 고대 목조 건축, 기둥 없이 지탱한 이유 일본 고대 건축의 독자적 구조 방식일본의 고대 목조건축은 동아시아 건축문화권에 속하면서도 독자적인 특징을 지닌다. 특히 초기의 목조건축 양식 중 일부는 중앙을 지탱하는 내부 기둥이 없이도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당시 건축 기술의 수준을 반영할 뿐 아니라, 그 사회가 지닌 종교적, 자연관적 요소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일본 목조건축은 중국에서 유입된 불교 사찰 건축기법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 수용 과정에서 섬나라 특유의 환경적 제약과 미적 감수성에 따라 변형되었다. 기둥 없이 지붕을 지탱한 대표적인 예로는 나라시대(710–794)의 사찰 건축과 초기 신사 건축 양식을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신사건축은 자연숭배 전통과 결합되면서 단순하고 가벼운 구조를 지향하게 .. 인도 라자스탄의 건축적 비밀 사막 위의 찬란한 성채, 라자스탄 궁전의 태동라자스탄(Rajasthan)은 인도 북서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왕들의 땅(Land of Kings)'이라는 의미를 지닌 이름처럼 수많은 왕조와 마하라자가 존재했던 곳이다. 이 지역의 궁전들은 사막 한복판에서도 놀라운 미학과 기술적 정교함을 자랑하며, 전 세계 건축학자들과 예술가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궁전으로는 자이푸르의 시티 팰리스(City Palace), 우다이푸르의 시티 팰리스, 조드푸르의 메헤랑가르 요새(Mehrangarh Fort), 자이살메르의 황금성(Golden Fort)이 있으며, 이들 궁전은 단순한 권력의 상징을 넘어서 기후 적응형 건축의 모범사례로도 평가된다. 이 지역 궁전의 건축은 주로 라지푸트(Rajput) 건축 양식을 기반으로.. 중국 자금성의 궁궐 건축 – 황제 권력의 상징적 표현 1. 자금성의 건축적 정체성과 황제 권력의 시각적 상징화중국 베이징 중심에 위치한 자금성(紫禁城)은 명나라 영락제(永樂帝)의 명으로 1406년에 착공되어 1420년에 완공된, 세계 최대 규모의 궁궐 단지이다. 총면적 약 72만㎡에 달하는 이 공간은 980여 개의 건물과 8,700개 이상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축 배치와 양식 전반에 걸쳐 황제 권력의 정점이 어떻게 공간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자금성의 건축은 단순히 거주와 정치의 공간이 아닌, 중국 황권의 정통성과 초월적 지위를 시각적으로 드러내는 상징물이었다. 특히 중심축에 대한 집착적인 설계는 천자(天子)의 권위와 우주 질서를 반영한다. 자금성은 남북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정전, 중전, 내정이 철저히 배치되어 있는데, 이는 .. 서양 건축과 한국 전통건축의 공간 활용 비교 1. 공간의 철학: 개인 중심과 자연 중심의 사유 차이서양 건축과 한국 전통건축의 공간 활용 방식은 단순히 건물의 형태나 구조의 차이를 넘어, 공간을 대하는 철학적 인식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서양 건축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유산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 기능 중심의 공간 구성을 발전시켜 왔다. 비트루비우스(Vitruvius)가 『건축십서』(De Architectura)에서 언급한 '안정성(Firmness), 기능성(Commodity), 아름다움(Delight)'은 오늘날까지도 서양 건축의 핵심 기준으로 간주된다. 반면, 한국 전통건축은 자연과의 조화를 우선시하며 공간을 유기적이고 가변적인 구조로 배치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유교, 도교, 불교 등의 철학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공간은 인간이 자연.. 전통가옥의 창문과 문양이 가지는 의미와 실용성 전통가옥의 창호, 자연과 조화된 삶의 경계전통가옥에서 창문은 단순한 개폐 장치를 넘어, 자연과 조화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경계 장치로 기능했다. 한국 전통 건축에서 대표적인 창호는 '창'과 '문'을 겸하는 구조로, 자연 환기와 채광, 프라이버시 보호, 심미적 역할까지 아우르는 중요한 건축 요소였다. 『한국건축사』(조희승, 2009)에 따르면, 조선 시대 한옥의 창호는 대부분 격자형 나무틀에 한지를 발라 만든 '창호지문' 형태였으며, 이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공기 흐름을 조절하고 눈부심을 막으며 은은한 빛을 유입시켜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 특히 창호지의 재질은 수분과 공기를 적절히 통과시켜 내부 습도 조절에 탁월했는데, 이는 현대의 패시브 디자인과도 맞닿는 전통적 지혜다. 또한 창문의 .. 자연과 사는 집, 전통 한옥의 힐링 공간 구성법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공간 철학: 한옥의 근본 원리 전통 한옥은 단순한 주거 공간이 아닌, 자연과의 조화를 근본 원리로 삼는 생태적 건축물이다. 한옥은 대지의 방향, 지형, 계절 바람의 흐름, 일조량, 강수량 등 자연환경 요소를 최대한 수용하고 반영하여 설계되었다. 이러한 공간 배치와 건축 방식은 인간이 자연을 정복의 대상이 아니라 공존의 대상으로 인식해 왔음을 보여준다. 특히, 북쪽에 산을 두고 남쪽을 트는 배산임수(背山臨水)의 터전 선정 방식은 풍수지리사상의 핵심이며, 실제로도 일조량 확보와 풍향 조절에 효과적인 입지 조건이다. 《한국건축문화대전》(문화체육관광부, 2001)과 국립문화재연구원의 《전통건축 용어사전》(2021)은 한옥 설계에서 자연과 인간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조적 원리가 작용함을 .. 이전 1 2 다음 목록 더보기